[블로그] 구글 애드센스 용어 정리
구글 애드센스를 운영하면서 수익을 극대화하려면 관련 용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게 중요해요. CPC, CTR, RPM 같은 개념을 알면 광고 수익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감이 잡히고, 최적화 전략도 쉽게 세울 수 있죠. 이 글에서는 애드센스에서 꼭 알아야 할 주요 개념과 실질적인 활용법까지 정리해볼게요!
애드센스 주요 용어 요약
CPC | 클릭당 수익 (Cost Per Click) |
CTR | 광고 클릭률 (Click-Through Rate) |
RPM | 1,000회 노출당 수익 (Revenue Per Mille) |
CPM | 1,000회 노출당 광고비 (Cost Per Mille) |
Impression | 광고 노출 수 |
PV (Page Views) | 페이지뷰 수 |
Invalid Clicks | 무효 클릭 (부정 클릭) |
Ad Unit | 개별 광고 단위 |
Wire Transfer | 해외 송금 방식 |
PIN Verification | 주소 인증 (우편으로 PIN 코드 수령 후 입력) |
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다면 아래에 상세설명과 함께 예시도 적어놨습니다.
💰 수익 관련 용어
CPC (Cost Per Click) – 클릭당 비용
•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할 때 광고주가 지불하는 금액이에요.
• CPC가 높을수록 클릭 1회당 수익이 커져요.
• 금융, IT, 건강, 법률 같은 특정 주제는 CPC가 높게 책정되는 경우가 많아요.
📌 예시
CPC 1.50달러 → 광고 1회 클릭 시 1.50달러 수익 발생
CPC 0.20달러 → 광고 1회 클릭 시 0.20달러 수익 발생
💡 CPC 높이는 방법
• CPC가 높은 키워드를 포함한 콘텐츠 작성
• 검색 의도가 뚜렷한 롱테일 키워드 활용
• 경쟁력 있는 광고가 많이 들어올 수 있도록 사이트 최적화
CTR (Click-Through Rate) – 클릭률
• 광고가 노출된 횟수 대비 클릭된 비율이에요.
• CTR이 높을수록 광고 수익 상승 가능성이 커져요.
• CTR(%) = (광고 클릭 수 ÷ 광고 노출 수) × 100
📌 예시
광고가 1,000회 노출되고 10회 클릭 → CTR = 1%
광고가 5,000회 노출되고 50회 클릭 → CTR = 1%
💡 CTR 높이는 방법
• 광고를 본문 상단, 중간, 사이드바에 적절히 배치
• 반응형 광고를 사용하여 최적의 크기로 자동 조정
• 콘텐츠와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광고 배치
RPM (Revenue Per Mille) – 1,000회 노출당 수익
• 광고가 1,000회 노출될 때 발생하는 예상 수익이에요.
• RPM이 높을수록 사이트의 전체 광고 수익성이 올라가요.
• RPM(달러) = (총 수익 ÷ 총 노출 수) × 1,000
페이지 RPM = (예상 수입 / 페이지 조회수) * 1000
📌 예시
하루 10,000회 광고 노출, RPM 2.50달러 → 하루 예상 수익 25달러
💡 RPM 높이는 방법
• 광고 노출을 극대화하려면 사이트 방문자 수 증가시키기
• 페이지 체류 시간을 늘려 더 많은 광고 노출 유도
📢 광고 노출 & 트래픽 관련 용어
CPM (Cost Per Mille) – 1,000회 노출당 비용
• 광고가 1,000회 노출될 때 광고주가 지불하는 금액이에요.
• CPM이 높은 광고는 클릭 없이도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어요.
📌 예시
CPM 3.00달러 → 1,000회 광고 노출당 3.00달러 수익 발생
💡 CPM 높이는 방법
• 사이트 체류 시간을 늘려 더 많은 광고 노출 유도
• 영상, 이미지 등을 활용해 방문자가 오래 머물게 하기
Impression (광고 노출 수)
• 사용자가 페이지를 방문할 때 광고가 몇 번 노출되었는지 나타내는 지표예요.
• 클릭 없이도 노출만으로 수익이 발생할 수 있어요.
Page Views (페이지뷰, PV)
• 방문자가 웹사이트에서 본 페이지 수예요.
• 페이지뷰가 많을수록 광고 노출 기회가 증가하고 수익 상승 가능성이 커져요.
📌 예시
한 사용자가 3개의 페이지를 보면 페이지뷰 = 3
💡 페이지뷰 늘리는 방법
• 관련 콘텐츠 내부 링크 추가
• 글을 여러 페이지로 나누어 보기 (페이지네이션 활용)
🎯 광고 최적화 & 정책 관련 용어
Ad Unit (광고 단위)
• 웹사이트에 삽입할 수 있는 개별 광고 블록을 의미해요.
• 배너 광고, 텍스트 광고, 반응형 광고 등이 있어요.
💡 추천 광고 유형
✔ 반응형 광고 (모바일 & PC 자동 최적화)
✔ 디스플레이 광고 (배너형)
✔ 네이티브 광고 (콘텐츠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짐)
Invalid Clicks (무효 클릭)
• 사용자가 고의적으로 광고를 클릭하거나, 봇, VPN 등을 이용해 클릭하는 경우예요.
• 구글이 이를 감지하면 수익이 차감되거나, 심하면 계정이 정지될 수도 있어요.
💡 주의할 점
🚫 본인이 직접 광고 클릭 금지
🚫 가족, 친구에게 광고 클릭 요청 금지
🚫 VPN 사용 시 애드센스 계정 정지 위험
Ad Balance (광고 균형 조정)
• 사이트에서 광고 노출 빈도를 조정하는 기능이에요.
• 광고가 너무 많으면 사용자 경험이 나빠질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최적화가 필요해요.
💡 광고 수 줄이기 효과
• 광고 개수를 줄이면 CPC & CTR 상승 가능
• 너무 많은 광고는 방문자의 광고 차단 확률을 높임
💵 지급 & 수익 관련 용어
Wire Transfer (전신 송금) & Swift Code
• 애드센스 수익을 받을 때 사용하는 국제 은행 송금 방식.
• Swift 코드는 각 은행별 해외 송금용 코드.
📌 예시 (Swift 코드)
국민은행: CZNBKRSE
신한은행: SHBKKRSE
카카오뱅크: CITIKRSXKAK
💡 환전 수수료 절약법
✔ 카카오뱅크, 토스뱅크 등 수수료가 낮은 은행 이용
✔ 외화 통장을 개설해 환율이 좋을 때 환전
PIN Verification (주소 인증, PIN 코드 인증)
• 애드센스 수익이 10달러 이상이 되면 구글이 우편으로 PIN 코드를 보내줍니다.
• 이 PIN 코드를 입력해야 최초 지급이 가능합니다.
📌 주의사항
✔ 4주 내 도착하지 않으면 재발송 요청 가능
✔ 3번까지 요청할 수 있으며, 이후에는 신분증 인증 필요
💡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꼭 필요한 개념들이니 참고해서 광고 전략을 짜보세요!